스토킹·교제폭력 피해 동시에 입었다면…"전국 11개 기관서 통합지원"
여가부, 여성폭력 피해자 통합지원사업 참여 기관 발표
2023년 시범사업 시작해 236명 지원…올해 11개소 확대

[서울=뉴시스] 황준선 기자 = 서울여성회와 서울여성회 페미니스트 대학생 연합동아리원들이 지난해 8월 30일 오후 서울 강남역 10번 출구 인근에서 딥페이크 성범죄 OUT 말하기 대회를 하고 있다. 2024.08.30. hwang@newsis.com
[서울=뉴시스] 고홍주 기자 = 앞으로 스토킹과 교제폭력 등 두 가지 이상의 여성폭력 피해를 당한 피해자들은 전국 11곳에서 한번에 통합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여성가족부가 '여성폭력 피해자 광역단위 통합지원사업' 운영기관으로 여성긴급전화1366센터 11곳을 선정했다고 19일 밝혔다.
통합지원사업은 정부 국정과제인 '5대 폭력 피해자 보호·지원 강화'의 추진과제로, 여성폭력 복합피해자 지원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서비스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추진된 것이다.
그동안 여성폭력 피해자 지원체계는 유형별로 성폭력·가정폭력·성매매 등으로 나뉘어, 스토킹과 교제폭력 및 디지털성범죄 피해를 모두 입은 복합피해자들이 일일이 지원기관을 찾아다녀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정부는 지난 2022년 24시간 365일 서비스를 지원하는 1366센터에 통합지원단을 신설해 복합피해자들에게 15일 이내에 통합 서비스를 지원하는 사업모델을 개발했다. 이듬해 2개소에서 시범사업을 시행했고, 지난해에는 5개소로 확대했다.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지난 2년동안 고난도 복합피해자 236명(남 30명, 여 206명)에게 1150건의 통합서비스가 제공됐다. 또 1057개 기관이 통합사례회의에 참석하고 86건의 업무협약을 통해 지원기관 간 협력을 강화했다.
지난해 11월에는 피해자 만족도 제고와 운영지역 확대 등 성과를 인정받아 '2024년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최우수상(국무총리상) 기관 표창을 받기도 했다.
올해부터는 11개 지역으로 확대해 부산·인천·대전·울산·경기·충북·충남·전남·경북·경남·제주센터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특히 올해부터는 통합지원사업이 매해 공모를 거쳐 사업 운영기관을 선정하는 정부 직접사업에서 지자체 경상보조사업으로 변경돼 사업의 지속성이 강화된다.
여가부는 이날 11개 기관 대표자 간담회를 열고 통합지원을 위한 지역현안과 사각지대 해소방안을 논의했다.
추후 종사자 대상으로 워크숍과 찾아가는 교육·지도 등을 지원해 사업역량도 강화할 예정이다.
신영숙 여가부 차관은 "최근 여성폭력의 양상이 다양해지고 이미지 합성 기술(딥페이크)과 같이 첨단기술기반 신종범죄도 증가하고 있어 폭력 유형, 거주 지역에 관계없이 피해자 중심주의에 입각한 양질의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졌다"고 말했다.
이어 "향후 통합지원사업을 전국적으로 확대하고, 피해자의 빠른 일상회복을 위해 통합지원의 법적근거를 마련하는 등 사업 추진기반을 공고히 해나가겠다"고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adelante@newsis.com
출처 : 뉴시스 황준선 기자